활주로 명칭
[활주로 명칭] 항공기 진입 방향 따라 방위각으로 구분 표시
인천공항에서 비행기를 타고 지상에서 이동할 때 밖을 내다보면 15R, 33L 같은 번호가 보이는데 이는 어떤 표지인가요.

그것은 인천공항 초기부터 사용해오던 여객청사 동쪽에 있는 활주로 2개에 붙은 명칭입니다. 이 활주로들은 항공기 진입 방향에 따라 각각 15L, 15R, 33L, 33R로 구분돼 있습니다. 여기서 L과 R은 각각 왼쪽과 오른쪽을 뜻하는 것으로, 두 개의 활주로가 서로 평행하게 설치돼 있는 경우 항공기에서 조종사가 보았을 때를 기준으로 좌측부터 L(Left), R(Right)을 붙이게 됩니다. 모든 공항의 활주로는 양방향으로 이착륙을 할 수 있고 반대편에서 보면 왼쪽, 오른쪽이 바뀌니까 동일한 활주로라도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서 L과 R이 각각 다르게 붙게 되는 것이지요. 작년부터 새로 사용하고 있는 제3활주로는 이 두 개의 활주로와는 떨어져 있어서 RWY16과 RWY34로 구분합니다.
15, 33, 16, 34와 같은 숫자는 활주로 방위각에서 두 자리 숫자를 가져 온 것인데, 이착륙을 하려고 할 때 항공기 조종석에 달려있는 나침반이 가리키는 방향을 써놓은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원래 이 활주로 번호 정보는 항공기가 이착륙을 하려고 할 때 조종사가 참고할 수 있도록 해놓은 것이라서 조종사의 눈높이에 맞춰져 있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정 남북으로 뻗은 활주로라면 항공기가 북쪽을 향해 이륙을 하려고 활주로 남쪽에 섰을 때 조종사는 북쪽을 보게 되므로 그 위치가 북쪽으로부터 360도(0도)란 의미로 ‘36’으로 표시됩니다.
반대로 조종사가 남쪽을 향하게 되는 위치라면 그쪽 활주로에는 북쪽에서 남쪽이 180도 방향이므로 ‘18’로 표기를 하고, 항공기가 남쪽 방향으로 이착륙을 시도할 때 활주로 18L이나 18R을 사용하게 되는 것입니다.
인천공항은 활주로가 정 남북 방향이 아니라 남쪽에서 봤을 때 약간 서쪽으로 틀어진 북서-남동 방향이므로 남동쪽 끝에 33·34, 북서쪽 끝에는 15·16이란 번호가 붙어 있습니다.
그러면 이착륙 방향을 바꾸게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건 바로 바람 때문입니다.
바람이 항공기 운항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이착륙을 할 때는 앞에서 불어오는 정풍을 맞아야 좋기 때문에 같은 공항에서도 되도록이면 맞바람을 받아 뜨고 내릴 수 있도록 활주로 사용 방향이 수시로 바뀌게 되는 것입니다.
바람은 불어오는 쪽을 기준으로 방향을 정하고 있지요. 북쪽에서 남쪽으로 불 때 북풍이라 하며 360도로 표시합니다.
반대로 남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이라면 180도가 되겠지요. 그러니까 관측 풍향과 동일하거나 근접한 명칭의 활주로로 진입하면 항상 정풍을 받고 이착륙을 할 수 있게 됩니다.
그래서 인천공항의 경우 북서풍이 우세한 겨울철에는 33L이나 33R이, 남동풍이 주로 부는 여름철에는 15L이나 15R 활주로를 주로 이용하는 것입니다. 또한 활주로 주변에는 바람 방향을 탐지하기 위한 장비들이 설치돼 있어 관제탑에서는 그때그때 바람 방향을 확인하고 조종사에게 사용할 활주로를 지정해 주게 됩니다.



‘18’은 정북쪽에 있는 활주로 의미
15, 33, 16, 34와 같은 숫자는 활주로 방위각에서 두 자리 숫자를 가져 온 것인데, 이착륙을 하려고 할 때 항공기 조종석에 달려있는 나침반이 가리키는 방향을 써놓은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원래 이 활주로 번호 정보는 항공기가 이착륙을 하려고 할 때 조종사가 참고할 수 있도록 해놓은 것이라서 조종사의 눈높이에 맞춰져 있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정 남북으로 뻗은 활주로라면 항공기가 북쪽을 향해 이륙을 하려고 활주로 남쪽에 섰을 때 조종사는 북쪽을 보게 되므로 그 위치가 북쪽으로부터 360도(0도)란 의미로 ‘36’으로 표시됩니다.
반대로 조종사가 남쪽을 향하게 되는 위치라면 그쪽 활주로에는 북쪽에서 남쪽이 180도 방향이므로 ‘18’로 표기를 하고, 항공기가 남쪽 방향으로 이착륙을 시도할 때 활주로 18L이나 18R을 사용하게 되는 것입니다.
인천공항은 활주로가 정 남북 방향이 아니라 남쪽에서 봤을 때 약간 서쪽으로 틀어진 북서-남동 방향이므로 남동쪽 끝에 33·34, 북서쪽 끝에는 15·16이란 번호가 붙어 있습니다.
그러면 이착륙 방향을 바꾸게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건 바로 바람 때문입니다.
바람이 항공기 운항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이착륙을 할 때는 앞에서 불어오는 정풍을 맞아야 좋기 때문에 같은 공항에서도 되도록이면 맞바람을 받아 뜨고 내릴 수 있도록 활주로 사용 방향이 수시로 바뀌게 되는 것입니다.
항상 정풍 받을 수 있는 방향으로 이착륙
바람은 불어오는 쪽을 기준으로 방향을 정하고 있지요. 북쪽에서 남쪽으로 불 때 북풍이라 하며 360도로 표시합니다.
반대로 남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이라면 180도가 되겠지요. 그러니까 관측 풍향과 동일하거나 근접한 명칭의 활주로로 진입하면 항상 정풍을 받고 이착륙을 할 수 있게 됩니다.
그래서 인천공항의 경우 북서풍이 우세한 겨울철에는 33L이나 33R이, 남동풍이 주로 부는 여름철에는 15L이나 15R 활주로를 주로 이용하는 것입니다. 또한 활주로 주변에는 바람 방향을 탐지하기 위한 장비들이 설치돼 있어 관제탑에서는 그때그때 바람 방향을 확인하고 조종사에게 사용할 활주로를 지정해 주게 됩니다.
[출처] 대한항공 스카이뉴스
'Flight Info > Air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공사 여행정보 사이트 (0) | 2010.02.23 |
---|---|
플라잉 아트 앰버서더 (0) | 2010.02.19 |
항공기와 바람 (0) | 2010.02.17 |
항공기 문 (0) | 2010.02.16 |
조류 충돌 예방 (0) | 2010.02.15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항공사 여행정보 사이트
항공사 여행정보 사이트
2010.02.23[항공사 여행정보 사이트] 생생 여행정보 가득, 쌍방향 소통도 가능 항공사 여행정보 사이트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주요 콘텐츠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요? 단체에 묶인 일정을 거부하며 나만의 자유로운 여행을 선호하는 개인 여행객들이 늘어나고 있는 데는 인터넷을 통해 각종 여행정보를 접하기 쉬워진 영향도 크다고 하겠습니다. 또한 이들이 여행 후에 자신들의 생생한 경험이 담긴 정보들을 카페나 블로그 등을 통해 공유하면서 여행객들에게 도움을 주고 있지요. 대한항공에서 운영하는 여행정보 사이트(travel.koreanair.com)는 네티즌들이 서로 정보를 공유하는 공간이자 보다 종합적인 여행정보를 제공하는 여행포털이면서, 글로벌 항공사인 대한항공이 제공하는 특화된 콘텐츠들이 돋보입니다. 2007년 유럽여행 정보 … -
플라잉 아트 앰버서더
플라잉 아트 앰버서더
2010.02.19[플라잉 아트 앰버서더] 여행의 품격을 높여주는 문화예술 가이드 얼마전에 승무원과 함께 하는 ‘퐁피두전시회 감상행사’로 보도되기도 했던 ‘플라잉 아트 앰버서더(Flying Art Ambassador) 서비스’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알고 싶습니다. 플라잉 아트 앰버서더는 대한항공 기내에서 승무원이 해외 유명 미술관·박물관에 대한 상세한 안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르는 말입니다. 대한항공은 파리 루브르 박물관의 멀티미디어 가이드 교체사업을 후원하면서 작년 2월부터 한국어로도 작품 안내가 되도록 했는데, 이와 관련해서 한 달 뒤인 3월부터는 파리 노선 기내에서 담당 승무원이 원하는 승객들에게 해당 지역의 미술관·박물관에 관한 여러 가지 정보들까지 무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는 전세계 항공사 가운데 최초로 … -
항공기와 바람
항공기와 바람
2010.02.17[항공기와 바람] 이착륙 땐 앞바람, 순항 땐 뒷바람이 좋아 가끔 강풍으로 항공편이 취소되기도 하던데, 바람은 항공기 운항에 다 방해가 되나요? 비행기는 바람에 민감하기 때문에 이착륙 기준치 이상의 바람이 불면 공항 당국으로부터 아예 입출항 허가가 나지 않습니다. 장거리 비행에서 이미 목적지 공항 상공에 도착했는데 바람의 강도가 착륙 허용치 이상일 경우에도 인근의 허용치 이하인 다른 공항으로 날아가 착륙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는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에 따라 남서풍이니 북동풍이니 하고 부르지만 항공업무에서는 항공기를 중심으로 방향을 구분합니다. 즉, 항공기 앞쪽에서 뒤로 부는 바람은 정풍(Head Wind : 앞바람), 반대로 뒤에서 앞으로 부는 바람은 배풍(Tail Wind : 뒷바람), 옆에서 부는 바… -
항공기 문
항공기 문
2010.02.16[항공기 문] 비행 중 문 열기는 불가능 얼마 전 외국 항공사에 탑승한 승객이 지상에서 이동 중인 항공기의 문을 열어 문제가 됐다고 하는데, 비행 중에도 이런 일이 있을 수 있나요? 예를 들어 B747-400 기종 일반 객실에는 총 10개의 문이 장착돼 있습니다. 그런데 만약 어떤 승객이 비행 중에 화장실에 가다가 실수로 이들 중 하나를 화장실 문으로 착각하고 열어 버린다면 어떻게 될까요? 하지만 실제로 그런 일은 일어날 수가 없습니다. 항공기가 순항고도(8천~1만3천 미터)로 비행 중이면 절대로 문을 열 수 없습니다. 이는 항공기 비행 고도에 따라 외부 대기압과 기내 압력이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500원 동전만한 면적에 4.5㎏ 압력 항공기가 지상에서부터 300미터 상승할 때마다 약 3퍼센트씩 외부…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